
원단을 가득 실은 오토바이,
드르륵 드르륵 빠르게 돌아가는 봉제소리,
하얀 김을 뿜으며 나가는 스팀다리미,
옷이 만들어지는 이 곳에서 봉제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이야기 합니다.
과거 |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 제조업으로 7,80년대 산업화를 이끌었던 봉제의 과거 역사를 통해 우리 도시의 발전사를 돌아 봅니다. |
현재 | 과거 조수로 일을 막 시작했던 봉제사들도 이제는 어였한 사장님이 되어 지금 봉제산업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화려하게 빛나는 패션산업의 묵묵한 배후기지로서 세월의 축적을 담아온 그들의 손(기술)으로 현재의 이야기를 담습니다. |
미래 | 끊임없이 빠르게 변하며 다양해지는 지금의 산업환경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과거와 현재의 기술의 토대 위에서 함께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생산의 미래를 상상합니다. |
이야기 / Story 상설 전시와 기획 전시를 통해 과거의 봉제산업의 사료들과현재의 봉제산업을 이끌어 가고 있는 이 시대 마스터들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
|
경험 / Experience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관객들에게 그 동안 가려졌던봉제산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제공합니다. |
|
창의성 / Creativity 봉제작업실은 봉제 산업 내의 다양한 기술 교육을 통해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실행하게 돕습니다. |
|
상생 / Coexistence 지역 연계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와 함께 봉제문화를 만들어가는봉제역사관을 지향합니다. |
이움피움 봉제역사관은
우리의 삶과 함께 해 온 봉제산업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는 도심 속 문화역사공간입니다.
관람시간 |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 (오후 5시 30분에 입장 마감)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매년 1월 1일 / 설날, 추석 연휴 / 공휴일 |
관람요금 | 무료 (단, 기획전시에 따라 요금이 변동될 수 있음) |
관람 시 유의사항 |
단체는 10인 이상으로, 방문 3일 이전 사전 예약시 전시해설이 제공됩니다. 단체는 최대 2시간까지 체류 가능하며, 예약이 많을 경우 안전한 관람을 위해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기획전시에 따라 요금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봉제역사관의 최상층(4층)으로, 사무실과 테라스가 위치해 있습니다.
테라스에서는 한국 봉제산업의 중심인 창신동 봉제거리 전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습니다.
![]() |
기간별로 주제를 선정하여 기획한 전시를 선보이는 공간입니다. 다양한 기획으로 더 많은 디자이너와 봉제인을 함께 소개하고, 그들의 노력과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2020 국내 입체패턴의 선구자,대한민국 명장 서완석 展
좋은 옷 한벌을 만드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모델리스트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앞으로 국내 패션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입체패턴으로
대한민국 명장이 된 ‘서완석 명장’과 그의 작품을 소개한 전시입니다.
![]() |
![]() |
2019 서울명품봉제
‘2018 대한민국명품봉제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수상한 5팀의 컬렉션과 참가자들의 작업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하였습니다. 창의적 디자인, 과학적 패턴, 집약적 기술의 봉제가 하나 되었을 때 패션이 완성된다는 점을 보여줌과 동시에, 국내 봉제 기술의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고 옷의 창작과 생산의 이야기를 나눕니다.
![]() |
![]() |
![]() |
![]() |
![]() |
![]() |
![]() |
![]() |
2018 서울의 봉제마스터
봉제인들의 가려져있던 가치를 소개합니다. 서울에서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봉제인들과 그분들의 가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많은 봉제인을 발굴하여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2층은 한국 봉제의 역사를 볼 수 있는 봉제역사실이 있습니다.
봉제역사실(상설전시)
‘봉제의 역사’에 대한 상설 전시와 실물 재봉틀이 전시되어 있으며 산업화 이전 한국의 봉제부터 산업화 이후 여성들의 사회 진입과 봉제의 연관성, 서울의 봉제 산업과 지역별 특징 같은 전반의 내용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1층의 카페갤러리는 소규모 전시 등으로 활용 가능한 열린 공간입니다. *지역연계 , 협업 전시 관련 신청은 이메일 및 전화 문의 바랍니다
아뜰리에는 봉제역사관의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기념품샵도 함께 위치해, 체험연계 기념품 뿐 아니라 워크웨어, 패턴자, 노트, 재단가위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중입니다. 실무용 패턴자와 작업지시서가 프린트 되어있는 노트는 패션과 봉제에 관심있는 분들을 위한 상품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차와 커피가 구비된 셀프카페가 있어,
역사관을 방문한 누구나 자유롭게 휴식을 취하고 음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환경보호 일환으로 1회용 종이컵이 비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개인 컵이나 텀블러를 지참해 주시거나 기념품샵에서 리유저블 텀블러를 구매하여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4가길 26 |
전화 | 02-747-6471~2 |
이메일 | iumpium@naver.com |
가까운 지하철 |
서울도시철도 1, 4호선 동대문역 1번 출구 |
주차시설 | 진입로가 협소하고, 주차장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전화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
편의시설 | 지하 1층에 무인카페가 있고, 3층 정원에 야외벤치가 있으나 기타 5인 이상 규모의 휴게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기 공간이 협소합니다. 장시간 대기하실 경우, 역사관 인근의 흥인지문(동대문), 서울성곽길, 청계천 등 주변 문화시설 관람을 권장해 드립니다' |
봉제역사관 전시해설사 2기
김태엽 선생님
항상 적극적이고 친절한 모습으로 관람객 여러분께 더 좋은 해설을 들려드릴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갖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층 상설전시관 입구 오른쪽에서 ‘오늘의 도슨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역사관에 방문하시면 시간에 맞춰 전시해설사 선생님들의 도슨트를 꼭 들어 보세요!
봉제역사관 전시해설사